Izvjesnost o tome da postoji život nakon smrti tijela, pomaže ljudima da zemaljsku patnju puno lakše podnose, jer oni tada zemaljski život smatraju samo kao pripremu za ulazak u blaženost, u stvarni život u duhovnom kraljevstvu. Njima zemaljski život ne predstavlja ono najviše tj. krajnji domet, i stoga oni niti ne pridaju nesrecama i patnji tako veliki znacaj, a isto tako zemaljska dobra i cari slabo cijene, pošto znaju da su oni prolazni. Život duše nakon smrti za njih je radosna misao, a i sama smrt gubi na užasu, pošto se oni nje ne plaše, nego je smatraju samo ulazom u duhovni život.
Stoga je onaj covjek koji na Zemlji živi u vjeri u nastavak života duše, u svakom smislu u prednosti u odnosu na onoga koji nijece besmrtnost duše. Potonji se trude zemaljski život iskoristiti u zemaljskom smislu, i teže samo tome da dugo i dobro žive na ovoj Zemlji, pošto smatraju da im je smrcu njihovog tijela došao kraj. No uvjerenu vjeru u daljnji život duše covjek može zadobiti jedino putem vlastitog promišljanja, ona mu ne može biti prenesena od strane drugih ljudi, covjek može jedino biti potaknut na razmišljanje, a on sam mora doci do zakljucka da Božja djela stvaranja moraju biti trajna, inace je Stvoritelj stvorio nepotpuno djelo.
No sve što covjek promatra, opet je jedno djelo stvaranja u savršenom obliku kao vec postojeca djela stvaranja, dakle na tome se može zamijetiti neprestani uspon [[ (dosl. uzlazna kretnja) ]], koji sa covjekom ne može prestati, nego se nastavlja u duhovnom kraljevstvu. No to covjeku ne može biti dokazano, ako ne uvaži kao dokaz svoj osjecaj koji rad[[ (osn) ]]ije prihvaca pomisao o daljnjem životu nakon smrti nego pomisao na potpuni kraj sa završetkom zemaljskog života....
Dakle covjek mora vjerovati ono što mu ne može biti dokazano.... i pored toga može u to imati unutarnje uvjerenje, koje cini da tad bez dvojbe živi savjesno. Jer covjek sa vjerom u daljnji život nakon smrti skroz ce drugacije urediti svoj zemaljski život nego covjek bez vjere u to, pošto za svrhu zemaljskog života smatra duševni uspon, pošto za cilj priznaje stanje duševne zrelosti, što je i preduvjet za blaženi život nakon smrti. On dakle više obraca pažnju na dušu, dok se covjek bez te vjere samo trudi održati tjelesni život i teži jedino zemaljskim ciljevima. Njega dotice sve što se tice tijela, bilo to radost ili tuga, jer on za to ne pronalazi ravnotežu u svom duševnom životu .
On je doduše osjecajno i misaono isto tako u sferama koje se nalaze izvan zemaljskoga, no nije svjestan toga da je to potraga duše, kojoj sami zemaljski ciljevi nisu dovoljni. No uvijek ce želje tijela prevladavati i vracati dušu iz tih sfera, a i uspijevati ce mu, sve dok se vjera u nastavatk života u njemu ne probudi i ona onda željama tijela pruži otpor. Muka nadolazeceg doba ce biti stoga puno podnošljivija za ljude koji cvrsto vjeruju u besmrtnost, dok ce ove druge hvatati ocajanje, pošto ce smatrati da im je došao kraj njihovog vremena i spoznaja toga u njima pobuduje paralizirajuci užas.
Jer vjera ce uvijek biti izvor utjehe i snage, vjera nikada nece deprimirati, nego dizati, vjera nece biti slabost volje, nego jakost volje i takoder ce prouzrociti snažnu volju. Volja nije ništa ljudsko, nego nešto Božansko, pa i pored toga što nevjernik pokušava to omalovažiti.... Njemu nedostaje snaga, koja struji iz jake vjere. I stoga bi se prije svega trebalo boriti i zauzimati oko ove vjere, jer jednom kad se covjek smatra besmrtnim, on onda i radi na spasenju duše, i ne zadovoljava se uspjesima zemaljskog života.
No u neprolaznost njegove duše ga je moguce uvjeriti tek onda kad se aktivira u nesebicnoj Ljubavi.... inace prevladava samoljublje koje ce vjeru u daljnji život nakon smrti uvjek odbijati, jer je duša svjesna svog nedostatnog stanja i stoga se prije boji eventualnog daljnjeg života. I stoga uvijek i uvijek iznova treba biti prvo propovijedana Ljubav, kako bi se razmišljanje covjeka preobrazilo, tako da se onda približi ispravnoj vjeri, kako bi zemaljski život naucio prepoznati kao prolaznu stanicu i kako bi svjesno težio savršenstvu, da bi u onostrani život zakoracio u stanju koje bi mu osiguralo vjecni život.
AMEN
Translator육신의 죽음 후에 계속 산다는 확신이 사람들이 이 땅의 고통을 훨씬 더 쉽게 인내할 수 있게 한다. 왜냐면 그들은 이 땅의 삶을 단지 영의 나라의 실제의 축복된 삶에 도달하는 예비 단계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이 땅의 삶이 최고가 아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어려움과 고난에 큰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그들은 세상의 재물과 세상의 기쁨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왜냐면 그들은 세상의 재물과 세상의 기쁨이 헛된 것임을 알기 때문이다. 죽음 후의 혼의 삶은 그들을 행복하게 하는 생각이고, 죽음의 두려움이 또한 사라지게 된다. 왜냐면 그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죽음을 단지 영적 삶을 살게 되는 문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혼이 계속 산다는 믿음으로 이 땅의 삶을 사는 사람은 혼이 계속 존재하는 일을 부인하는 사람들보다 모든 면에서 유리하다. 사후의 삶을 부인하는 사람은 단지 세상적인 의미에서 이 땅의 삶을 활용하고, 이 땅에서 단지 오래 잘 사는 일을 추구한다. 왜냐면 그들은 자신들의 육체의 죽음으로 자신들이 소멸되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은 단지 스스로 생각하는 일을 통해 혼이 계속 산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고, 이웃사람이 그에게 전해줄 수 없고, 사람은 단지 생각하도록 자극을 받을 수 있다. 그는 스스로 하나님의 창조물이 반드시 계속 존재해야만 한다는 결론에 도달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창조주가 결함이 있는 작품을 만든 것이 된다.
그러나 사람이 보는 모든 것은 이미 존재하는 창조물로써 완성된 형태를 가진 창조물이고, 이를 통해 끊임없이 위로 성장하는 일을 확인해볼 수 있다. 이런 성장은 당연히 사람이 됨으로 멈출 수 없고 영의 나라에서 계속된다. 그러나 사람이 이 땅의 삶이 끝남과 함께 완전히 끝이 난다는 생각보다 더 즐겁게 죽음 후에 삶이 계속 된다는 생각을 기쁨으로 받아드리는 긍정하는 느낌을 증거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사람에게 이런 성장을 증명해줄 수 없다.
그러므로 사람은 증명할 수 없는 것을 믿어야만 하고, 그럴지라도 그는 그에 대한 내적인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이런 확신이 이제 그가 의심하지 않고 의식적으로 살게 한다. 왜냐면 죽음 후에 계속 산다고 믿는 사람은 믿음이 없는 사람과는 아주 다르게 이 땅의 삶을 살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면 그는 혼이 높이 성장하는 일을 이 땅의 삶의 목표로 여기고, 죽음 후에 축복된 삶을 살기 위한 조건인 혼이 성장하게 만드는 일을 목적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그는 이제 자신의 혼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반면에 믿음이 없는 사람은 단지 육체적인 생명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단지 세상적인 목표를 추구한다. 그는 기쁨이든 슬픔이든 몸과 연관된 모든 것에 영향을 받는다. 왜냐면 그가 자신의 혼의 삶을 위한 것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는 감정으로 그리고 생각으로 실제 이 땅의 밖의 영역에 있지만, 이런 일이 유일하게 이 땅의 목표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혼이 구하는 일임을 의식하지 못한다. 그러나 육체의 욕망이 항상 우세하여 혼을 이런 영역에서 끌어내린다. 계속 산다는 믿음이 사람 안에서 깨어나, 혼이 육체의 욕망에 저항하기 전에는 육체가 성공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가올 때의 고난은 계속되는 삶을 굳게 믿는 사람들이 훨씬 더 쉽게 견딜 수 있게 될 것이다.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의심에 빠지게 될 것이다. 왜냐면 그들이 그들의 시간적인 끝이 온 것으로 여기고, 이를 아는 일이 그들 안에 그들을 마비시키는 공포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왜냐면 믿음이 항상 위로와 힘의 근원이 될 것이고, 믿음은 절대로 짓누르지 않고, 일으켜 세울 것이고, 믿음이 의지의 연약함이 아니라 의지의 강함이 될 것이고, 마찬가지로 강한 의지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믿음은 비록 믿지 않는 사람이 믿음을 경시하고 놀리려고 시도할지라도, 인간적인 것이 아니라 어떤 신적인 것이다. 강한 믿음에서 나오는 힘이 믿지 않는 사람에게 부족하다. 그러므로 이런 믿음을 먼저 얻어야 한다. 왜냐면 사람이 불멸한다고 생각하면, 그는 또한 혼의 구원을 위해 일하고, 이 땅의 삶의 성공에 만족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혼의 불멸하는 것을 그가 자신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사랑을 행할 때, 비로소 그가 믿을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 사랑이 지배적이고, 자기 사랑은 죽음 후에 계속 산다는 믿음을 항상 거부할 것이다. 왜냐면 혼이 자신의 결함이 있는 상태를 알기 때문에, 계속 산다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사랑을 계속하여 끊임없이 가르쳐야만 한다. 이로써 사람의 생각이 바뀌고, 사람이 이제 올바른 믿음을 갖게 해야 하고, 그가 이 땅의 삶을 지나치는 과정으로 깨닫고, 그에게 영원한 생명을 보장하는 상태로 저 세상으로 들어갈 수 있기 위해 의식적으로 온전하게 되기 위한 추구를 하게 해야 한다.
아멘
Trans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