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 proclamation with translation

Other translations:

생명의 의지. 죽음에 대한 두려움.

인간의 혼의 성숙한 정도가 아직 아주 낮은 동안에는, 사람 안에 살려는 의지가 강하게 발달되어 있다. 이일은 또한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왜냐면 세상이 그를 포로로 잡고 있고, 그가 소원을 성취한 것으로 속이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계속되는 삶을 믿는 믿음이 없는 동안에는, 이 땅의 생명을 내어주는 일이 인간에게 극도로 어려운 일처럼 보인다. 왜냐면 믿음이 없는 사람은 이 땅의 삶 전체를 다르게 보게 하기 때문이다.

깊은 믿음을 가진 사람은 이 땅의 삶을 단지 실제적인 삶이 시작되는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중간에 머무는 장소로, 학교로 생각한다. 이런 믿음이 그에게 이 땅의 삶의 모든 장애물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줄 것이다. 반면에 믿지 않는 사람은 자주 이 땅의 삶의 모든 장애물과 어려움 앞에 주저앉고, 삶을 최종적으로 끝낼 수 있는 것으로 여기고 자신의 생명을 버린다.

깊은 믿음을 가진 사람은 요구를 받는다면, 쉽게 자신의 생명을 드릴 수 있다. 왜냐면 그의 초점이 육체의 죽은 후의 삶에 가 있기 때문이다. 그의 소원은 하나님과의 연합하는 일이다. 왜냐면 그가 하나님과의 연합이 비로소 진정한 생명임을 느끼기 때문이다.

사람이 이 땅과 이 땅의 재물에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에는, 그의 위를 향한 추구는 방해를 받고, 온 감각으로 세상을 갈망한다. 언젠가 이 세상을 떠나야만 한다는 생각은 그가 견딜 수 없는 그를 압박하는 생각이다. 이를 통해 그의 영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왜냐면 세상을 향한 사랑은 하나님과 이웃 사랑을 못하게 하고, 그러면 인간은 아직 아주 성숙하지 못한 영이다. 다시 말해 그의 혼은 아직 자신 안의 영과 하나가 되지 못했고, 그에게 깨달음이 없고, 이 땅의 삶보다 더 나은 삶을 전혀 알지 못한다.

그러면 죽음에 대한 모든 생각은 그에게 끔찍한 생각이다. 그는 즐기기 위해 살기를 원하고, 세상의 재물을 갈망하고, 영적인 재물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이런 상태는 아무리 책망해도 충만하게 책망할 수 없는 영적으로 저조한 상태이고, 사람은 이제 세상적으로 또한 영적으로 생명을 잃을 가장 큰 위험에 처한다.

왜냐면 그가 하나님과의 연결을 이루기 위해 이 땅의 삶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그는 이 땅의 삶을 헛되이 산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영적인 죽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 물질을 향한 가장 깊은 사랑에 빠지지 않기 위해 자신의 이 땅의 삶을 더 빠르게 포기해야만 한다. 왜냐면 이 땅의 삶은 영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기 위해 혼이 더 높은 성장하고, 물질을 극복하도록 인간에게 주어진 은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땅에서 인간의 실제 과제를 무시하다면, 그는 스스로 자신을 물질에 묶고, 이제 그의 이 땅의 삶을 끝냄으로써 강제적으로 물질을 벗어나게 해야만 한다.

육체의 죽음에 대한 생각이 사람에게 참을 수 없는 동안에는 그는 자신의 이 땅의 실제 과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삶을 향한 의지가 그에게 아주 강해서, 생명이 자신의 손에 달려 있다고 믿는 가운데, 그러나 그러면서도 조기에 생명을 잃게 되어야만 할까 봐 두려움을 느끼는 가운데, 그는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모든 일을 행한다. 저세상의 나라를 보면서, 혼이 계속 산다는 믿으면서 비로소 죽음은 공포를 잃기 시작한다. 왜냐면 그러면 인간은 자신의 이 땅의 삶이 영원히 지속되는 실제적인 삶의 예비 단계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_>아멘

(책 33은 2576번의 계시로 끝난다.

책 34에는 2733-2746의 계시가 포함되어 있다.

책 35/36에는 2747-2776의 계시가 포함되어 있다.

책 37은 2777 번 계시로 시작이 된다.

나열되지 않은 계시는 베르타 듀데의 원고에도 누락되어 있다. )

Translator
번역자: 마리아, 요하네스 박

The will to live.... Fear of death

The human will to live is very strongly developed as long as his soul’s maturity is still very low, which is quite understandable since the world still captivates him and pretends to fulfil his wishes. The human being finds it extremely difficult to give up his earthly life as long as he lacks faith in life after death, because the latter makes him look at all life on earth differently. A profoundly devout person merely looks at earthly life as in intermediate place, as a school which he has to attend in order to be admitted into the kingdom where real life begins. And this faith will also give him the strength to overcome all obstacles and difficulties of earthly life, whereas the unbeliever often breaks down and discards his life assuming that he is able to permanently end it himself. Anyone with profound faith will gladly give up his life if it is demanded of him because he directs his attention towards the life after the death of his body and his longing towards the union with God, since he feels that this is primarily the true life. As long as the human being only pays attention to the earth and its goods he inhibits his aspirations to ascend, he desires the world with every fibre of his being and the thought that he will have to leave this world one day is intolerable and depressing to him.

And this reveals his state of mind because his love for the world diminishes his love for God and other people, and thus the person is still spiritually immature, i.e. his soul has not yet united with the spirit within himself, he is not yet aware and knows nothing better than his earthly life. In that case he finds every thought of death appalling, he wants to live to enjoy, he desires worldly goods and disregards spiritual values. And this spiritual low level cannot be criticized enough since the human being is now in great danger to lose his earthly as well as his spiritual life. If he does not use his earthly life to find a connection to God he will live in vain and it is better that he should suffer the loss of his earthly life than to fall into deepest love with matter, which amounts to spiritual death. Earthly life is a mercy given to the human being for higher development and for rising above matter in order to enter the spiritual kingdom.... However, if the human being’s real task on earth is disregarded he chains himself to matter and forcibly has to be pulled away by the termination of his earthly life. As long as the thought of physical death is intolerable to a person he is not paying any attention to his real earthly task. The will to live is so strong in him that he will do anything to protect and lengthen it in the belief that his life is in his own hands, and yet again he feels fearful of having to lose it prematurely. Only in view of the beyond, in the belief of the soul’s life after death, the terror of death begins to subside and then the human being understands that his earthly life is a mere preliminary stage for the real life which will last eternally....

Amen

Translator
번역자: Heidi Han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