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 proclamation with translation

Other translations:

국가가 지나치게 종교와 거리를 둔다면...

사람들은 모든 사람들을 잘못 깨달을 수 없게 모든 악을 지원하는 국가의 탈 종교화를 이루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은 백성들의 심장에서 하나님과 그의 의로움에 관한 가장 단순한 가르침을 빼앗는다면, 이 가운데 국가가 위기에 처해 스스로 무너져야만 하는 것에 항상 주의해야 한다.

모든 세상의 질서는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향한 내면의 질서의 결과이다. 모든 나라의 백성들이 먼저 모든 세상 위에 계신 하나님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국민들의 생각을 세상 법을 지키도록 만들지 않을 때, 국가에 의해 제정된 어떤 법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강팍한 성품은 더 높은 권세가 요구하는 모든 것을 계속해서 거역하려고 한다. 사람을 먼저 유연하고, 기꺼이 자신을 변화시키려는 성품의 사람으로 만들면, 그는 그에게 주어진 요구를 따를 것이다. 믿음의 가르침 외에 어느 것으로도 이러한 강팍한 사람들을 유연하고 부드러운 사람으로 만들 수 없다.

영원하신 하나님 앞에 의롭다 함을 받을 수 있는 믿음을 갖지 못하도록, 그리고 죽은 후에 어떤 모양으로든지 보응을 받는다는 믿음을 갖지 못하도록 만들어진 백성들보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백성은 더욱 더 세상의 법 이상을 지키려고 할 것이다.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는 백성은 점차로 더 이상 어떤 책임감도 갖지 않게 됨으로 세상의 형벌을 더 이상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지 작은 정보로 이를 충분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책임감은 하나님에 대한 자세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사람은 실제 더 높은 존재를 두려워하지만, 그러나 세상 권력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백성들 가운데 징계에 대한 모든 믿음을 빼앗을 때, 인간의 혼에 정욕들이 불타올라, 이 욕망들은 모든 소유를 차지하려고 하거나, 또는 거리낌 없이 파괴시키려는 묶임에서 풀린 원소와 같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믿음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보전하려는 욕구보다, 파괴하려는 욕구가 더 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국가의 탈 종교화로 인한 또 다른 결과는 지금은 아직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상태의 사람들의 차이가 없어지는 일이다. 그들은 세상을 초월하는 창조자를 싫어함으로, 다시 말해 그를 인정하기 원하지 않음으로 곧 모든 혼들이 단지 물질적으로만 발전하므로 성화하는 일은 거론도 되지 않을 것이다. 이로써 자연히 더 높은 영적 단계에 이르고자 하는 추구도 사라진다.

그러므로 모든 것이 혼적으로 이 땅에 머물고, 이 땅의 세력과 이 세력으로부터 나오는 부정적인 발산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이런 존재들의 종말은 이 땅의 삶을 마친 후에 완전히 영적으로 죽게 된다. (두번째 사망 = 흙이니 흙으로 돌아가라 = 혼이 정체성을 잃고 분해된 후 물질화되어 부분적으로 혼의 입자들을 담고 있는 흙에서 식물, 식물에서 동물의 의무의 단계를 거치는 일 = 새로운 파문 = 인도의 윤회는 오류, 사람이 짐승이 되는 것이 아니고, 흙에 되어 다시 성장의 길을 걷게 됨 = 세번째 지옥에 해당되는 지배욕에 빠진 사람들의 운명, 청지적 지배욕보다 종교적인 지배욕이 가장 큰 죄악 임. 역자주)

이제껏 그 어느 정권에게도 이 정도로 이 땅의 자녀들의 혼에 파괴적으로 역사하는 무제한의 권세가 주어진 적이 없다. 이 때문에 이로 인해 앞으로 일어날 일들의 끔찍한 결과를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한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이전에 백성들이 하나님에 대한 무지와 완전한 흑암 가운데서도 하나님에 관한 가르침을 세워나갔던 것들이 현재의 이미 전해진 하나님의 가르침을 훼손하고, 없애버리려는 오늘날의 계획에 비하면 무한히 소중하다. 이 땅이 얼마나 큰 곤경을 겪겠는가! 다시 온전히 이 가르침을 받아들이기까지 사람의 자녀들이 어떠한 비참함을 아직 견뎌야만 하는가!

지금까지 사람들이 단지 인정하고 성취시킨다면, 사람들을 악으로부터 보호했던 모든 것에 대항하여 싸우기 위해 계획적으로 하나님의 가르침을 없애 버리는 일이 얼마나 끔찍한 범죄인가! 소위 백성들을 해롭게 하는 교리를 정화한다는 이유로 실행하는 많은 시도들이 실패할 것이다. 대신 영원으로부터 존재하고 사라질 수 없는 예수 그리스도의 순수한 말씀인 사람에게 유일하게 구원을 줄 수 있는 진정한 하나님의 가르침이 더 분명하고 순수하게 드러날 것이고, 사람들을 그들의 바른 목적지인 영원한 생명으로 인도할 것이다. 아멘

Translator
번역자: 마리아, 요하네스 박

La dereligiosizzazione dello Stato

Così gli uomini vogliono avviare una dereligiosizzazione dello Stato che presta un favoreggiamento ad ogni male. Con ciò ci si dovrebbe sempre tenere davanti agli occhi, che lo Stato deve necessariamente precipitare in sé stesso, quando al popolo viene strappato dal cuore il più semplice Insegnamento su Dio e la Sua Giustizia. Ogni ordine terreno è prima di tutto la conseguenza dell’Ordine interiore di Dio. I popoli di tutte le nazioni sanno, che nessuna delle leggi date dallo Stato sarebbe da adempiere, se prima il pensare di questo popolo, attraverso una Dottrina sull’Essere di Dio Che sta al di sopra di tutto il terreno, non venisse orientato a seguire l’esaudimento delle leggi. Un essere duro presterà sempre resistenza all’esortazione di un potere superiore. Se riformate prima un uomo in un essere duttile, che si forma volenterosamente, allora eseguirà anche l’esortazione che gli viene posta. E null’altro può formare un tale uomo in modo morbido e duttile che la Dottrina della fede. Un popolo che teme Dio cercherà anche sempre prima di adempiere tutte le leggi terrene che un popolo, al quale è stata tolta la fede in una giustificazione davanti all’eterna Divinità ed una ricompensa dopo la morte. Basta solo la breve indicazione, che un tale popolo non temerà nemmeno più una punizione terrena, perché in questo viene presto soffocato ogni sentimento di responsabilità Questo è dunque solo radicato nella predisposizione verso Dio, si temerà bensì ancora un Essere superiore, ma non il potere terreno, quando al popolo viene tolta ogni fede in una ricompensa. Allora nell’anima umana si attizzano le passioni del tutto enormemente, come degli elementi liberati vorranno prendere possesso di tutto oppure distruggere anche tutto senza ostacolo, perché in tali esseri senza fede è molto proprio l’istinto di distruzione che quello della conservazione. Ulteriori conseguenze della dereligiosizzazione sarebbero che presto non esisterebbe più nessuna differenza fra gli uomini che sono ora ancora diversi. Perché se fossero infedeli ad un Creatore ultraterreno, cioè non Lo volessero più riconoscere, allora presto anche ogni anima si svilupperebbe solo in modo puramente materiale, non si potrebbe mai parlare di una spiritualizzazione, e quindi non ci sarebbe nessuna tendenza di raggiungere un grado spirituale più alto. Quindi tutto rimarrebbe sulla Terra animicamente e verrebbe influenzato dalle forze terrene e le loro emanazioni nocive. E la fine di questi esseri sarebbe una morte spirituale perfezionata dopo il loro decesso terreno. Ma a nessuna autorità è data ancora il potere illimitato, di agire sull’anima del figlio terreno in tal modo distruttivo, perciò per questo motivo inizierà ovunque un lavoro, per indicare agli uomini le terribili conseguenze di una tale iniziativa. Quello che i popoli si sono prima edificati come dottrina della Divinità nell’ignoranza e totale cecità, era ancora infinitamente più prezioso nei confronti del piano odierno, di cercare a toccare e di estirpare una Dottrina divina già esistente. Oh quale tristezza deve ancora colpire questa Terra, quale miseria devono tollerare ancora i figli degli uomini, affinché si rivolgano di nuovo totalmente a questa pura Dottrina! E quale pessimo crimine è di voler distruggere pianificata questa Dottrina, di combattere contro tutto ciò che finora ha preservato gli uomini dal male, se soltanto veniva riconosciuta ed osservata. I molti tentativi della presunta purificazione delle dottrine che danneggiano il popolo, falliranno, ma per questo sorgerà in tutta la chiara purezza ciò che esiste sin dall’Eternità e non può sprofondare, la pura Parola di Gesù Cristo, la vera Dottrina divina, che è la sola che può portare la Benedizione agli uomini e li guida alla loro giusta destinazione, alla Vita eterna.

Amen

Translator
번역자: Ingrid Wunderli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