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construction de chaque être humain demande toujours les mêmes composantes, le corps, l'âme et l'esprit. Le corps, c'est-à-dire l'enveloppe extérieure, exécute les fonctions que l'âme détermine. Donc le corps est seulement l'organe au moyen duquel est exécutée la volonté de l'âme. A l'instant de la mort l'âme n'a plus besoin d'aucun organe pour la servir comme sur la Terre dans une Œuvre de Création visible, parce qu'elle change son lieu de séjour et passe dans des sphères où il n’y a rien de visible à l'extérieur. Le corps qui était seulement le moyen pour le parcours terrestre où l'âme devait se former en tant que porteuse de l'Esprit divin est devenu inutile. L'esprit, la troisième composante de l'être vivant, somnole dans chaque homme, et il entre en action seulement lorsque la volonté de l'âme lui offre plus d'attention qu'au corps, c’est à dire lorsque l'âme ne prend plus aussi sérieusement les exigences terrestres en regard des exigences qu’imposent l'esprit, ce qui signifie s'éloigner toujours plus des besoins des terrestres. Parce que corps, âme et esprit sont certes ensemble, mais ils peuvent poursuivre des buts séparés. L'âme peut tourner sa volonté davantage vers des demandes du corps, mais elle peut aussi les laisser inaperçues et rendre sa volonté disponible seulement à l'esprit en elle, et justement cette orientation de sa volonté détermine sa vie dans l'au-delà, c'est-à-dire l'état dans lequel l'âme séjourne après la vie terrestre, état qui peut lui apporter le bonheur ou la souffrance. Donc la vie terrestre, autrement dit la fonction du corps, est seulement un stade transitoire, dans lequel se trouve l'âme. L'âme le pousse à l’action sur la Terre, mais il n'est pas imaginable qu’elle cesse d’exister lorsque le corps ne peut plus exécuter sa fonction. L'âme abandonne le corps, parce qu'elle prend demeure dans des régions où elle n'a plus besoin d'une enveloppe extérieure. Et considérer l'âme comme ayant une fin serait une opinion totalement fausse de la part de son essence, parce que l'âme est quelque chose qui ne peut pas disparaître. Elle ne peut plus déterminer le corps dans ses fonctions à la mort corporelle de l'homme, mais au travers d’un état de maturité imparfaite, c'est-à-dire lorsqu’elle a donné trop de peu de considération à l'esprit en elle, elle tombe dans un état d'inactivité ; mais elle ne peut jamais «ne plus exister». Parce qu'elle est quelque chose de spirituel qui est impérissable, alors que le corps est constitué de substance terrestre, de matière et donc il est soumis à un constant changement, mais à la fin il se dissout dans sa composante d’Ur, dès que l'âme a abandonné le corps.
Amen
Traducteurs사람의 존재는 항상 같은 구성원인 육체와 혼과 영으로 되어 있다. 겉 형체인 육체는 혼이 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육체는 단지 기관이고, 이 기관을 통해 혼의 의지가 수행이 된다. 죽음의 순간에 혼은 이 땅에서처럼, 즉 볼 수 있는 창조의 작품 안에서 혼을 섬기는 것처럼, 섬기는 기관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혼이 거하는 장소를 바꾸어, 외적으로 볼 수 있는 일을 할 필요가 전혀 없는 영역으로 가기 때문이다. 혼이 하나님의 영을 모실 수 있도록 혼을 양육해야 할 이 땅의 과정을 위한 단지 수단이었던 육체가 필요 없게 된 것이다.
사람의 존재의 세번째 구성원인 영은 실제 모든 사람 안에 잠자고 있지만, 혼의 의지가 육체보다 영에게 더욱 관심을 가질 때, 다시 말해 항상 세상적인 욕구를 뒤로하는 것을 의미하는, 혼이 영이 혼에게 요구하는 것보다 세상의 요구들을 덜 중요하게 여길 때, 비로소 활동하기 시작한다. 육체와 혼과 영은 실제 함께 속해 있지만, 그럴지라도 서로 다른 목표를 추구한다.
혼이 자신의 의지를 육체의 요구에 더 많이 응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혼은 육체의 요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자신의 의지를 자신 안의 영에게 유익이 되게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의지의 방향이 저세상의 삶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이 땅의 삶 이후 혼이 거하는 상태를 정한다. 이 상태는 혼에게 행복이나 또는 고통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안에서 혼이 거하는 이 땅의 삶과 육체의 기능은 단지 일시적인 단계이다. 혼은 이 땅에서 사람이 모든 행동을 하도록 이끈다. 그러나 육체가 그의 기능을 더 이상 행할 수 없게 된다면, 혼이 사라진 것으로 절대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혼은 실제 육체를 떠난다. 왜냐하면 혼이 자신의 겉 형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영역에 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혼이 사라진 것처럼 여기는 것은 혼의 특성에 대한 전적으로 잘못된 관점이다. 왜냐하면 혼은 소멸될 수 없는 어떠한 것이기 때문이다. 혼은 실제로 인간의 육체의 죽음을 통해, 더 이상 육체의 기관의 기능을 정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 혼은 자신의 부족한 성장정도로 인해, 다시 말해 혼이 자신 안의 영에게 아주 적게 주의를 기울였다면, 불행한 상태에 빠진다. 그러나 절대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혼은 영적인 것이고, 소멸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육체는 물질로, 세상적인 입자로 되어 있고, 그러므로 지속적인 변형 아래 있다. 그러나 마지막에 가서 혼이 육체를 벗어난다면, 원래의 구성요소로 분해된다._>아멘
Traduct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