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 proclamation with translation

Other translations:

생명력있는 믿음.

사람에게 생명력이 있는 믿음이 부족하다. 그러나 생명력이 있는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왜냐면 생명력이 있는 믿음이 없이는 사람이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을 추구하고, 하나님과 연합을 갈망하기 위해 사람은 먼저 심장으로 하나님을 인정해야만 하고, 하나님이 존재하는 것으로 느껴야만 한다. 다시 말해 사람이 하나님이 존재하고, 자신의 피조물과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믿어야 한다. 이런 생명력이 있는 믿음만이 하나님을 의식적으로 추구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믿음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이 믿음은 절대로 다른 것과 대체될 수 없다. 왜냐하면 믿음 없이 하나님께 힘과 은혜를 구하는 기도를 드리 일은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은 하나님을 부르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님께 힘을 요청하는 일은 피할 수 없다. 왜냐면 사람 혼자서는 더 높은 성장을 위한 힘을 너무 적게 가지고 있고, 더 높이 성장하는 일이 이 땅의 삶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생명력이 있는 믿음은 증명할 수 없는 어떤 것을 모든 확신을 가지고 대변하는 일이고, 또한 이런 확신대로 삶을 사는 일이다. 다시 말해 이런 확신을 실천으로 옮기는 일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지 죽은 믿음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단지 입으로만 인정하고, 그들에게 믿도록 요구하는 모든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이 믿음대로 살라는 요구를 받으면, 그들은 믿음대로 살기 위한 힘을 모을 수 없다. 왜냐면 그들이 기도할 힘이 없기 때문이다. 즉 도움을 구할 힘이 없기 때문이다.

그들이 이제 진지하게 이에 관해 생각한다면, 그들의 내면이, 그들의 심장이, 전혀 인정하지 않고, 그러므로 그들에게 생명력이 있는 믿음이 전혀 없음이 그들에게 선명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믿음이 없으면 인간은 삶에서 실패한다. 왜냐하면 그에게 이제 어떤 근거도 없고, 그가 또한 창조의 의미와 목적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하나님과 관련된 모든 일은 증명할 수 없고 믿어야 만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심장으로 인정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인류에게 이런 생명력있는 믿음이 없다. 그들은 실제 입으로는 신성을 말하고, 신성을 믿지만, 그러나 그들은 실제로, 피조물에게 창조주가 필요하기 때문에, 단지 창조주의 존재를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만물의 연관관계를 깨닫지 못하고, 또한 인간과 창조주의 관계를 깨닫지 못한다. 인간이 사랑으로 자신에게 다가오는 존재를 확신할 때, 인간과 창조주 사이의 올바른 관계가 이뤄질 수 있다. 왜냐면 그러면 그는 이제 창조주에게 드리는 기도와 헌신을 통해 자신을 향한 이런 사랑을 얻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도는 원하는 모든 일을 할 수 있고, 선한 모든 일을 원하는 권세를 믿는 믿음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이런 존재는 전능하고 사랑이 충만해야 한다. 이런 온전한 존재를 믿는 믿음을 비로소 생명력있는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면 이런 믿음은 먼저 활동하도록 자극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마찬가지로 온전하게 되려는 추구를 한다. 왜냐면 그가 이제 깨닫는 영원한 신성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소원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성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일에 의지를 행동으로 옮기는 일이 필요하다.

생명력이 있는 믿음이 없는 곳에서 의지가 활동하지 못하는 상태로 머물거나 잘못된 목표를 설정한다. 의지가 세상을 추구하고, 인간은 자신을 창조한 존재와 연결을 이루지 않는다. 그러므로 믿음의 부족이 인간을 창조하는 권세로부터 인간이 독립되어 있음을 가르치는 일을 목표로하는, 때문에 생명력있는 믿음이 없는 죽은 믿음이라고 할 수 있는, 가장 다양한 믿음의 방향이 나타나게 된 원인이다. 이 땅의 삶의 목적과 목표는 의식적으로 영원한 신성을 추구하는 일이고, 연합하려는 소원을 갖는 일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 생명력있는 믿음이 필요하고, 생명력있는 믿음은 심장과 관련된 일이고, 절대로 이성적으로 얻을 수 없는 믿음이다.

하나님은 단지 느낄 수 있다. 심장이 하나님을 인정하면, 믿음도 또한 생명력이 있게 된다. 왜냐하면 사람이 이제 이런 느낌에 합당하게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이루고, 온전하게 되기 위해 의식적으로 추구하는 일이 하나님을 향한 올바른 태도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성적으로 하나님을 헤아려보려는 사람은 비록 그가 자신을 믿는 사람이라고 소개할지라도 믿음이 없는 사람이다. 생명력있는 믿음은 혼을 변화시키는 일을 하도록 자극한다. 반면에 형식적인 믿음은 이런 자극을 주지 않는다. 왜냐면 이런 믿음을 생명력있는 믿음이라고 부를 수 없기 때문이고, 살아 있는 모든 것은 활동해야만 하거나, 지속적으로 활동하도록 자극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아멘

Translator
번역자: 마리아, 요하네스 박

La foi vivante

C’est une foi vivante qui manque aux hommes, et c’est la chose la plus importante, parce que sans la foi vivante l'homme n'établit pas la liaison avec Dieu. Pour tendre à Dieu et avoir le désir pour l'unification avec Lui, Il doit d'abord Être affirmé dans le cœur. Il doit être ressenti comme Existant, donc l'homme doit croire en Lui, il doit croire qu'Il Est et qu'Il est en liaison étroite avec Ses créatures. Seulement cette foi vivante a pour conséquence de tendre vers Lui. Et ainsi la foi est absolument nécessaire et elle ne peut jamais plus être remplacée, parce que sans foi la prière à Dieu pour la Force et la Grâce est caduque. Celui qui ne reconnaît pas Dieu, ne l'invoque pas. Or l'invocation de Dieu pour la Force est inéluctable, parce que l'homme tout seul a trop peu de Force pour se développer vers le Haut, et cela est le but de la vie terrestre. Croire de façon vivante signifie pouvoir s'employer rempli de conviction pour quelque chose qui ne peut pas être démontré, et désormais vivre aussi selon cette conviction, c'est-à-dire la mettre en acte. Mais les hommes ont presque toujours seulement une foi morte, donc ils affirment seulement avec la bouche et reconnaissent tout ce qui est exigé d’eux de croire ; mais dès qu'ils doivent vivre en fonction de cette foi, ils n'en ont pas la Force, parce qu'ils ne sont pas en mesure de prier, donc de demander de l'Aide. Et si maintenant ils réfléchissent sérieusement sur cela, alors il devient clair pour eux, que leur intérieur, leur cœur, ne s’agence pas en mode affirmatif, ils n'ont donc aucune foi vivante. Or sans cette foi l'homme échoue dans la vie, parce que maintenant il lui manque tout fondement, il ne peut pas comprendre le sens et le but de la Création, parce que tout ce qui est reliée avec Dieu, n'est pas démontrable, mais doit être cru, cela doit être affirmé avec le cœur, et à l'humanité il manque cette foi vivante. Elle-même porte certes la Divinité dans la bouche et apparemment se déclare pour Elle, mais elle affirme vraiment seulement l'Existence d'un Créateur, vu que la Création en exige Un. Mais elle ne reconnaît pas la liaison de toutes les choses et donc elle ne reconnait pas le rapport entre l'homme et le Créateur. Or ce juste rapport de l'homme au Créateur peut être établi seulement lorsque l'homme est convaincu d'un Être qui se baisse vers lui dans l'Amour. Parce que maintenant il cherche à conquérir pour lui cet Amour à travers la prière et le dévouement à son Créateur. Mais la prière suppose la foi dans le Pouvoir qui peut tout ce qu’il veut, et fait tout ce qui est bon. Donc l'Entité doit Être toute-puissante et aimable. Seulement la foi dans une Entité parfaite peut être appelée vivante, parce que cette foi stimule à l'activité, l'homme tend aussi à la perfection, parce qu'il a le désir de s'approcher de l'éternelle Divinité qu’il reconnait maintenant, mais cela demande que la volonté devienne active. Mais là où manque la foi vivante, là la volonté reste aussi inactive. Ou bien elle se fixe un but erroné, elle tend vers le monde, et l'homme n'établit aucun lien avec l'Être qui l'a créé. L’absence de foi est donc le motif des plus diverses orientations de la foi qui tendent à enseigner l'indépendance de l'homme du Pouvoir qui l'a créé, et donc on peut appeler cela la mort d'une foi vivante. Parce que le but et l’objectif de la vie terrestre est une tendance consciente vers l'éternelle Divinité, le désir pour l'unification, chose qui cependant suppose une foi vivante, une foi qui est l'affaire du cœur, mais qui ne peut jamais être conquise intellectuellement. Dieu peut seulement Être perçu, et dès que le cœur l’affirme, il y a aussi une foi vivante, parce que maintenant, conformément à ce sentiment, l'homme établit aussi le juste rapport envers Dieu, et une tendance consciente à la perfection est la conséquence de cette juste prédisposition envers Dieu. Mais celui qui veut sonder Dieu intellectuellement, se trouve en dehors de la foi, bien que lui-même cherche à se présenter croyant à travers les mots. Une vivante foi stimule à l'activité dans la transformation de l'âme, tandis qu’une foi formelle fait manquer ce but et justement pour cela elle ne peut pas être appelée vivante, parce que tout ce qui vit doit s'activer ou bien stimuler à une activité toujours continue.

Amen

Translator
번역자: Jean-Marc Grillet